top of page

기후변화로 뉴욕시 나무 ‘봄맞이’ 늦어져

기후변화와 도시 열섬 효과로 인해 뉴욕시 나무들의 잎 트는 시기가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일대 연구진은 이로 인해 녹색 기간이 짧아지고, 생태계와 시민 생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김지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예일대 연구팀은 NASA 위성 자료를 활용해 지난 20여 년간 뉴욕시 346개 공원의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따뜻한 겨울로 인해 나무들이 계절 신호를 제때 받지 못하고 잎이 늦게 나는 현상이 확인됐습니다.


브라이언트파크, 시청 공원 등 중형 공원은 봄이 평균 3~5일 늦게 시작됐고, 센트럴파크와 프로스펙트파크 같은 대형 공원은 2일가량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잎이 늦게 나오면 생태계 전반에 연쇄적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합니다. 곤충과 새는 먹이와 서식지를 잃게 되고, 시민들은 나무의 그늘과 냉각 효과를 덜 누리게 됩니다. 탄소 흡수 능력도 떨어져 기후변화 완화 효과 역시 약화됩니다.


연구진은 지난 50년간 뉴욕의 겨울 기온이 화씨 3도 이상 상승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 책임자 주원 콩 박사는 “나무는 충분한 저온 기간이 있어야 봄에 깨어나지만, 따뜻한 겨울은 이를 방해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문제는 이로 인해 참나무, 단풍나무 같은 토종 수종이 병충해에 취약해지고, 은행나무, 가죽나무 같은 외래종이 번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프로스펙트파크에서는 올해 네덜란드느릅나무병이 확산되고, 참나무가 잎을 제대로 내지 못하는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대응을 위해 더 많은 예산과 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지만, 뉴욕시 공원국은 이미 부족한 자원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대신 빗물저장장치와 내열성 수종 도입을 추진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도시 설계 개선과 숲 밀도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연구팀은 옥상 녹화, 열 반사 건축 자재 활용, 더 많은 수목 식재가 효과적이라며 “나무가 고사한 뒤 복구하는 것보다 지금 대응하는 것이 훨씬 비용 효율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뉴욕시, 7년 만에 최악의 여름 지하철 운행난

뉴욕시 지하철이 올여름 7년 만에 최악의 운행난을 겪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노후화된 전기·신호 체계와 잇따른 장비 고장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습니다. 김지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MTA가 최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과 7월 두 달 동안...

 
 
 
뉴욕시 보건국, 오늘 밤 퀸즈 전역서 웨스트나일 방역

뉴욕시 보건국이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오늘 밤 퀸즈 일대에서 대규모 살충제 방역을 실시합니다. 당국은 주민들에게 방역 시간 동안 외출을 자제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김지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뉴욕시 보건국은...

 
 
 

댓글


bottom of page